글 다듬기 [글 다듬기] 글을 다 쓴 다음에는 아무리 짧은 글이라도 그것을 그대로 남에게 보이거나 발표를 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다듬어야 한다. 한번 쓴 글을 다시 읽어보고 빠뜨린 것을 써넣고, 필요가 없는 말을 줄이고, 틀린 말이나 정확하지 않은 말을 고쳐 쓰고 하는 일을 글 다듬기라 한다. 전에는 이것을.. 도서관 (지식 충전... 2010.04.02
띄어 쓰기의 규정 띄어쓰기 규정 1. 모든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부산까지, 사람마다, 꽃이다 2.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것, 바, 줄, 수, 데, 뿐, 리, 듯, 체, 채, 양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한 사람, 한 개,.. 도서관 (지식 충전... 2010.04.02
띄어 쓰기 입체 해설 띄어쓰기 입체해설 구성 : 1. 띄어쓰기의 필요성 2. 띄어쓰기의 원리와 원칙 3. 혼동하기 쉬운 띄어쓰기 1. 띄어쓰기의 필요성 띄어쓰기 규정은 맞춤법에서 7항 정도밖에(2항, 41-46 항) 안되지만 실제로는 문젯거리가 꽤 많은 가장 골치 아픈 분야이다. 심지어 띄어쓰기가 확실히 정립이 되면 국어학 연구.. 도서관 (지식 충전... 2010.04.02
어조의 개념 < 어조의 개념 > 어조는 시적 대상이나 독자에 대한 시적 자아의 태도, 또는 목소리를 말한다. 어조는 시적 분위기나 정서와 관련을 맺으면서, 선택되는 시어와 서술어의 어미에서 드러나게 되는데 대개 한 작품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 그러나 한 작품 안에서도 어조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주.. 도서관 (지식 충전... 2010.04.02
문장 부호 한글 맞춤법-<한글학회>-(문교부고시제88-1호)중에서 문장 부호 Ⅰ. 마침표[終止符] 1. 온점(.),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다만, 표제어.. 도서관 (지식 충전...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