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향기

젊어도 보았네 늙어도 보았네

엄마라는 나무에 자식이라는 꽃을 피워 그 향기가..."

생활의지혜 ~

이십사절기

가을비 우산 2008. 9. 3. 23:42

**이십사절기....

 
 
24절기

계 절
절 기
특 징
음 력


입춘(立春)
우수(雨水)
봄의 문턱
봄비가 내림

정월
경칩(驚蟄)
춘분(春分)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낮이 길어지기 시작함

이월
청명(淸明)
곡우(穀雨)
봄 농사의 준비
농삿비가 내림

삼월
여름

입하(立夏)
소만(小滿)
여름의 문턱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사월
망종(芒種)
하지(夏至)
씨뿌리기
낮이 연중 가장 긺

오월
소서(小署)
대서(大暑)
여름 더위 한 차례
여름 큰 더위

유월
가을

입추(立秋)
처서(處暑)
가을의 문턱
더위가 가샘

칠월
백로(白露)
추분(秋分)
맑은 이슬이 내림
밤이 길어지기 시작함

팔월
한로(寒露)
상강(霜降)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함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구월
겨울

입동(立冬)
소설(小雪)
겨울의 문턱
겨울 강설한 차례

시월
대설(大雪)
동지(冬至)
겨울 큰 눈이 옴
밤이 연중 가장 긺

동지
소한(小寒)
대한(大寒)
겨울 추위 한 차례
겨울 큰 추위

섣달


인간이 역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이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즉 농사를 짓기 위하여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 하늘에서 태양이 1년을 통하여 지나가는 경로를 황도(the Ecliptic)라고 부른다. 이것은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태양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루에 1도(°)씩 천구 상에서 이동하여 생기는 궤도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지구가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길이 황도이다.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의 변화는 잘 나타내 주지만 태양의 움직임은 잘 나타내 주지 않는다.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운동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음력 날짜와 계절의 변화는 잘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 즉 태양의 운동을 표시하여 주는 24절기(또는 24기)를 도입하여 같이 사용한다. 따라서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24절기로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태음태양력(우리가 흔히 음력이라 말하는 것은 원래 '태음태양력 太陰太陽曆'의 준말이다 여기서 '陰'은 '달'을 뜻하고 '陽'은 태양을 뜻한다)이라고 한다. 즉 달(태음)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이란 뜻이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가 0˚ 일 때 춘분, 15˚ 일 때 청명, ....., 300˚ 일 때 대한으로 한다.
(24 × 15 = 360)

이들 24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주지만 우리 나라의 기후가 정확하게 들어 맞는 것은 아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과 같이 생태계가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에서는 더욱이 들어맞기 어렵다.

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사이와 19∼23일사이에 온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이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어서 태양을 15도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절기를 쟀을까?
'농경사회에서는 태양, 별의 움직임을 재는 천문학이 아주 중요해 조선시대에는 혼천의,

간의 등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했고 이를 증보문헌비고나 칠정산내ㆍ외편에 기록했다'고 한다.

 

1.입춘(立春, 양력2월4.5일)
입춘은 정월에 첫번째로 드는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오며 봄의 시작을 의미한다.


2.우수(雨水, 양력 2월19.20일)
24절기의 두번째 절기.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다.

 


3.경칩(驚蟄 ,양력 3월5.6일)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하던 동물이 깨어 나며,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아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일에 개구리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4.춘분(春分, 양력 3월21.22일)
春分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으며,이 때에 춘분점(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에 들어 태양은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5.청명(淸明, 양력 4월5.6일)
淸明은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때로는 한식과 같은 날이 된다.


6.곡우(穀雨, 양력 4월20.21일)

穀雨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여름의 절기


7.입하(立夏, 양력 5월6.7일)
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분망해진다.


8.소만(小滿, 양력 5월21.22일)
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로,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며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9.망종(芒種, 양력 6월6.7일)
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
망종이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

10.하지(夏至, 양력 6월21.22일)
夏至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
이 날은 태양이 황도상의 가장 북쪽인 하지점에 이르러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된다.

11.소서(小暑, 양력 7월7.8일)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12.대서(大暑, 양력 7월23.24일)
大暑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
이 때는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이 무렵에는 몹시 더우며,
소서 때로부터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큰 장마가 지기도 한다.



가을의 절기



13.입추(立秋, 양력 8월8.9일)
立秋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14.처서(處暑, 양력 8월23.24일)
處暑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 처서라 한다.


15.백로(白露, 양력 9월8.9일)
白露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난다.


16.추분(秋分,양력 9월23.24일)
秋分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
추분점lt;천구상(天球上) 황도(黃道)와 적도(赤道)의 교점 가운데에서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점gt;에
이르러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17.한로(寒露, 양력 10월8.9일)
寒露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찬이슬이 맺힌다.


18.상강(霜降, 양력 10월23.24일)
霜降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
이때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므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린다.


겨울의 절기


19.입동(立冬, 양력 11월7.8일)
立冬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
김장은 입동을 기준해서 하며. 입동 전 혹은 입동 직후에 하여야 제맛이 난다.


20.소설(小雪 양력 11월22.23일)
小雪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
이때부터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여 첫 겨울의 증후가 보이며 눈이 내린다.


21.대설(大雪 양력 12월7.8일)
大雪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 이 시기에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대설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한편, 이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이 된다고 한다.


22.동지(冬至, 양력 12월22.23일)
冬至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르러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23.소한(小寒, 양력 1월6.7일)

小寒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절기의 명칭으로는 다음의 절기.


24.대한(大寒, 양력 1월20.21일)

大寒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생활의지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속의 절기풀이  (0) 2008.09.04
열두달속의 명절 (절기)  (0) 2008.09.04
추석의 유래와 어원  (0) 2008.09.04
설날의 유래와 어원  (0) 2008.09.04
결혼준비(혼례사이트 홈 페이지  (0) 2007.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