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향기

젊어도 보았네 늙어도 보았네

엄마라는 나무에 자식이라는 꽃을 피워 그 향기가..."

도서관 (지식 충전...

글 다듬기

가을비 우산 2010. 4. 2. 17:13

[글 다듬기]


글을 다 쓴 다음에는 아무리 짧은 글이라도 그것을 그대로 남에게 보이거나 발표를 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다듬어야 한다. 한번 쓴 글을 다시 읽어보고 빠뜨린 것을 써넣고, 필요가 없는 말을 줄이고,
틀린 말이나 정확하지 않은 말을 고쳐 쓰고 하는 일을 글 다듬기라 한다.
전에는 이것을 중국사람들 말 따라 '추고'니 '퇴고'니 했는데 우리 말로 '다듬기'라고 하면 아주 알맞다.
어떤 사람의 글이든지 처음 써 놓은 글은 여러 모로 잘못되어 있기가 예사이기 때문에, 한 번 읽어서 고치고,
또 읽어서 고치고, 여러 번 줄이고 보태고 바로 잡아서 다듬을수록 좋은 글이 된다.

1. 글 다듬기에서 살펴볼 점

① 본래 하고 싶었던 말이 제대로 씌어졌는가?
② 재미있게 읽히도록 씌어졌는가?
③ 사실에 맞는 이야기가 되어 있는가?
④ 표현이 정확한가?
⑤ 쉬운 말로 씌어졌는가?
⑥ 한 문장이 너무 길지는 않는가?
⑦ 단락을 잘 지어 놓았는가?
⑧ 우리 말로 썼는가?
⑨ 1인칭으로 썼을 경우 '나'를 너무 앞세우지는 않았는가?
⑩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잘되어 있는가?
⑪ 글점을 잘 찍었는가?
⑫ 글씨를 남들이 알아보기 힘들도록 내 멋대로 쓰지는 않았는가?

2. 글 다듬기 방법

쓰고 나면 곧 그 자리에서 읽어보고 잘못된 곳을 바로잡는다. 그리고 며칠 후, 다시 한 번 다듬는다.
글을 소리내어 읽어보는 것도 좋다. 또 다른 사람에게 읽혀서 들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실제로 다듬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빠뜨린 것이나 좀더 자세히 써야 할 자리에 보태어 써 넣는 일이다.
둘째, 필요 없는 말을 줄이는 일이다.
셋째, 틀린 말이나 정확하지 않은 말을 고치는 일이다.

3. 글 다듬기의 일반 원리

1) 일반 원칙

① 부가의 원칙 : 모자라거나 빠뜨린 것을 찾아서 보충해 넣는다.
② 삭제의 원칙 : 불필요하거나 지나치게 복잡한 말로 쓰인 것 중에서 없앨 부분을 골라 삭제한다.
③ 구조의 원칙 : 문장의 전개 방식이 효과적인 것이 되도록 재배열하여 짠다.

2) 과정

① 전체의 검토 : 주제는 처음의 의도와 틀리지 않았는가.
좀더 정확한 주제문으로 나 타낼 수 없는가.
주제외의 다른 부분이 더 강조되지는 않았는가.
상 술이 주제에 들어맞으며, 어울리지 않는 세목, 상술은 없는가.
② 부분의 검토 : 논점, 단락 등 글의 중심부가 유기적인 통일성을 이루고 있는가.
강 조성이 살려져 있으며, 중요도에 따른 비율은 적절한가.
부분과 부분 의 접속 관계는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으며, 명료한가를 검토한다.
③ 단어의 검토 : 단어는 정확성, 명료성, 참신성, 구체성 등의 요구에 맞도록 선택되 었는가.
④ 표기법 및 부호의 검토: 표기법, 띄어쓰기는 바르며, 부호는 적절하게 사용되었는가.
⑤ 자연스러움의 검토: 다듬기가 끝나면 소리내어 읽어서 부자연스러운 곳이 없는가를 검토.

3) 다듬기의 유의할 점

① 초고를 쓴 후 상당한 시간의 흐른 뒤에 다듬어라.
② 다른 사람에게 읽게 하여 충고를 들으라.
③ 낭독해 가며 어색한 곳을 고치라.
④ 적어도 3번 정도 읽고 수정하라.
⑤ 참고 서적을 이용하라.

4. 글이 완성되었는가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기준

① 문장은 이해하기 쉬운가.(평이성)
② 독창성 있는 내용인가.(독창성)
③ 가치 있는 화제를 전개했는가.(가치 있는 주제)
④ 화제는 중심 사상에 수렴되고 있는가.(통일성)
⑤ 단락의 접속이 긴밀한가.(일관성)
⑥ 내용이 분명한가.(명확성)
⑦ 논리성이 있게 전개되었는가.(논리성)
⑧ 표현이 풍부하고 다양한가.(충분한 표현)
⑨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명료한 낱말을 선택하여 썼는가.(단어 선택의 적절성)
⑩ 문법, 표기법, 띄어쓰기, 구두점 찍기 등을 바로 하였는가.(정확성)

-우리 문장 쓰기, 이오덕-
-문장 기술론, 김봉군

'도서관 (지식 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정도 알면 인터넷 고수  (0) 2010.04.02
아름다운 순수 우리말 알기  (0) 2010.04.02
띄어 쓰기의 규정  (0) 2010.04.02
띄어 쓰기 입체 해설  (0) 2010.04.02
어조의 개념  (0)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