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약용본초 각론 (둑새풀)
▶ 전신 부종, 소아 수두, 소아 복통 설사, 가축의 사료용, 뱀에 물린데 효험
둑새풀의 다른 이름은 간맥낭(看麥娘), 둑새풀, 뚝새풀, 독개풀, 독새기, 독새풀 등으로 부른다.
[간맥낭(看麥娘)
화본과의 한두해살이풀인 둑새풀(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Sobol.)의 지상부이다.
효능: 이수소종(利水消腫), 해독(解毒)
해설: ① 전신부종을 내리고, ② 소아의 수두(水痘)에도 효력을 얻으며, ③ 소아의 복
통설사에도 활용된다.
기타: 종자는 짓찧어서 뱀에 물린데 외용한다.]
둑새풀이라고도 한다. 논밭 같은 습지에서 무리지어 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곧게 서고 높이가 2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가 5∼15cm, 폭이 1.5∼5mm이며 흰색이 도는 녹색이다. 잎혀는 반달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2∼5mm이고 흰색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꽃이삭은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가 3∼8cm이며 연한 녹색이고, 작은이삭은 길이가 3∼3.5mm이고 좌우로 납작하며 1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苞穎:작은이삭의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밑 부분이 서로 합쳐지고 끝이 둔하며 3개의 맥이 있고 맥에 털이 있다.
호영(護穎: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포영의 길이와 비슷하고 끝이 둔하며 5개의 맥이 있고 뒷면에 짧은 까끄라기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꽃밥은 오렌지색이다.
소의 먹이로 쓰는데, 꽃이 핀 것은 소가 먹지 않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부를 간맥낭(看麥娘)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전신부종을 내리고 어린아이의 수두와 복통설사에 효과가 있다.
또한 종자는 찧어서 뱀에 물린 데 바른다. 북아메리카를 제외한 북반구 온대와 한대에 분포한다.
더자세히보기
참고 : 클릭둑새풀
[
'건강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의 효능 (0) | 2011.09.01 |
---|---|
암 치료의 원리 (0) | 2011.08.13 |
<갑상선검사/증상> (0) | 2011.07.01 |
[스크랩] 잇몸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0) | 2011.07.01 |
지키면 좋을 것 같은 생활 개선 (0) | 201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