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 띄어쓰기<1회>
1. 표준어 규정
제 1항: 표준어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3항: 1) 동녘, 새벽녘, 들녘, 동틀녘 (×) 동녁, 새벽녁, 들녁, 동틀녁
2) 부엌, (×) 부억
3) 칸, 칸막이, 한 칸 (×) 간
4)살쾡이, 삵쾡이 (×) 삵괭이
* 단, 초가삼간, 뒷간은 간으로 쓴다.
제 5항: 1) 강낭콩 (×) 강남콩
2) 사글세 (×) 삭월세
3) 적이 (×) 저으기
4) 고삿 (×) 고샅
* 겉고삿, 속고삿(0) 고삿길(X)
제 6항: 1) 돌 (×) 돐
2) 둘째, 셋째, 넷째 (×) 두째, 세째, 네째
3) 빌리다 (×) 빌다
*단, 열두째, 스물두째, 용서를 빌다로 쓴다.
제 7항: 1) 수꿩, 수나사, 수놈, 수소 (×) 수퀑, 숫퀑, 숫나사, 숫놈, 숫소
2)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탉 (×) 숫강아지, 숫개, 숫컷, 숫닭
수탕나귀, 수퇘지, 수평아리 숫당나귀, 숫돼지, 숫병아리
3) 숫양, 숫염소, 숫쥐 *접두사 '숫'이 붙은 것은 세 개뿐임
제 8항: 1) 깡충깡충, ˜둥이, 아서(라), 오뚝이 (×) 깡총깡총, ˜동이, 아사(라), 오똑이
2)사돈, 삼촌 (×) 사둔, 삼촌
3) 부조(
제 9항: 1) ~내기, 냄비 (×) ~나기, 남비 *서울내기, 신출내기, 새내기
2) 아지랑이 (×) 아지랑이
3) 미장이, 유기장이 (×) 미쟁이. 유기쟁이
4) 멋쟁이,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 멋장이, 소금장이, 담장이덩굴
제 10항: 1) 괴팍하다, 미루나무, 으레, (× ) 괴퍅하다, 미류나무, 으례,
허우대, 허우적허우적, 케케묵다 어위대, 허위적허위적, 켸켸묵다
제 11항: 1) ~구려, (× ) ~구료
2) 나무라다, 바라다 (× ) 나무래다. 바래다
3) 미숫가루, 상추 (× ) 미싯가루, 상치
4) 주책 (× ) 주착
5) 지루하다 (× ) 지리하다
6) 허드레 (× ) 허드래
7) 호루라기 (× ) 호루루기
* 단, 지리멸멸하다
제 12항: 1) 윗니, 윗도리, 윗사랑, 윗잇몸 (× ) 웃니, 윗도리, 윗사랑, 웃잇몸
윗목, 윗자리 웃목, 웃자리
2) 위쪽, 위층, 위치마, 위력 (× ) 웃쪽, 웃층, 웃치마, 웃턱
3) 웃돈, 웃어른, 웃옷(겉옷) (× ) 윗돈, 윗어른, 윗옷
제 13항: 1) 구(
2) 글귀, 귀글 (× ) 글구, 구글
제 14항: 1) 똬리, 무, 생쥐, 장사치 (× ) 또아리, 무우, 새앙쥐, 장사아치
2) 샘, 솔개 (× ) 새암, 소리개
제 16항: 다음은 다 표준어로 인정한다.
노을/ 놀, 막대기 / 막대, 머무르다 / 머물다
서두르다 / 서둘다, 서투르다 / 서툴다 / 시누이 / 시뉘 / 시누
오누이 / 오뉘/ 오누, 외우다 / 외다
이기죽거리다 / 이죽거리다, 찌꺼기 / 찌끼
제 17항: 1) 꼭두각시, 봉숭아 / 봉선화, 천장 (× ) 꼭두각시, 봉숭화, 천정
2) 너 돈, 너 말, 너 발, 너 푼 (× ) 네 돈, 네 말, 네 발, 네 푼
3) 넉 냥, 넉 되, 넉 섬, 넉 자 (× ) 너/네 냥, 너/네 되, 섬, 너/네 섬,
너/네 자
4) ~던, ~던가, ~던걸, ~던고, (× ) ~든, ~든가, ~든걸, ~든고
~던데, ~던지 ~든데, ~든지
*~던지: 과거 회상, ~든지: 선택
5) ~(으)려고 (× ) ~(으)ㄹ려고, ~(으)ㄹ라고
6) ~습니다 (× )~읍니다
7) ~올시다 (× ) ~올습니다
제 18항: 다음은 다 표준어로 인정한다.
네/예,쇠~/소~(쇠가죽/소가죽, 쇠고기/소고기)
괴다/고이다, 쐬다/쏘이다, 죄다/조이다, 쬐다/쪼이다
제 19항: 다음은 다 표준어로 인정한다.
거슴츠레하다/게슴츠레하다, 고까/꼬까, 구린내/쿠린내
나부랭이/너부렁이
제 20항: 1) 잔돈, 흰말 (× ) 잔전, 백말
제 22항: 1) 겸상, 총각무 (× ) 맞상, 알무/알타리무
2) 양파 (× ) 둥근파
제 23항: 다음은 다 표준어로 인정한다.
멍게/우렁쉥이, 물방개/선두리, 애순/어린순
제 25항: 1) 까다롭다 (x ) 까탈스럽다
2) 등때기 ( x) 등떠리
3) 아주 (x ) 영판
4) 안절부절 못하다, 주책없다 ( x) 안절부절하다, 주책이다
5) 부각 ( x) 다시마, 자반
6) -에는 ( x)-엘랑
제 26항: 다음은 다 표준어로 인정한다.
가락엿/가래엿, 가엾다/가엽다, 감감무소식/감감소식, 것/해,
게을러빠지다/게을러터지다, 고깃간/푸줏간, 극성떨다/극성부리다, 댓돌/툇돌,
돼지감자/뚱단지, 넝쿨/덩쿨, ~뜨리다/트리다, 만큼/만치, 바깥벽/밭벽,
벌레/버러지, 서럽다/섧다, ~(으)세요/~(으)셔요, ~이에요/이어요, 어저께/어제,
자물쇠/자물통, 장가가다/장가들다, 부침개-질/부침-질/지짐-질,
씁쓰레하다/씁쓰름하다
'도서관 (지식 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대말 사전 모음 (7) | 2015.04.24 |
---|---|
반대말 모음 (0) | 2015.04.24 |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차이 (0) | 2014.03.25 |
소스 설명[포토샾 테크닉 모음] (0) | 2013.11.15 |
제사 상 차리기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