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향기

젊어도 보았네 늙어도 보았네

엄마라는 나무에 자식이라는 꽃을 피워 그 향기가..."

도서관 (지식 충전...

수필의 문장

가을비 우산 2010. 4. 2. 16:47

1. 수필의 문장


수필은 비교적 짧은 산문이기 때문에 '문장'이 작품의 성패를 결정짓는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장 = 사람' 이라는 등식의 말을 곧잘 하는 데. 이를 '문장=수필'이라 해도 좋을 듯 하다.
문장은 글쓴이의 총체적인 이생의 경륜과 경지를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인생을 안 것은 사람과의 접촉의 결과에서가 아니라,
책(문장)과 접촉한 결과이다."라고 프랑스 소설과 아나톨 프랑스는 말한 바 있다.
그렇다면 어떤 글이 좋은 문장일까.
문장을 쓰기에 앞서 목적에 부합되는 글인가를 살펴봐야 한다.
지식, 이해가 목적인 글 : 설명문, 해설문
설득, 동조가 목적인 글 : 논설문, 논증문
감화, 공감이 목적인 글 : 묘사문, 서정문
사건, 흥미가 목적인 글 : 기사문, 서사문

첫째, 진실된 글이어야 한다.
수필은 진실을 바탕으로 한 글이므로 진실의 힘과 감동이 잘 전달되도록 해야 하며 허위가 있어서는 안된다.

둘째, 바른 글이어야 한다.
품위 있는 글 : 어휘, 바른 관점의 글
문법에 맞는 글 : 맞춤법, 띄어쓰기, 월점

셋째, 쉬운 글이다.
단락의 변화나 한계가 뚜렷한 글
구성상 짧고 간결한 글
문체상 어렵거나 까다롭지 않은 글

넷째, 재미있는 글이다.
화제나 내용이 새롭고 재미있는 글.
서술이나 표현이 참신하고 개성적인 글.
변화있는 구성으로 지루함이 없는 글

2. 수사법
문장의 표현에 있어서 많은 수사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수사법은 여인의 화장법과 흡사한 것이어서,
지나친 수식어의 남발은 문장을 천박하게 만들며 되려 진실을 오도하게 한다.
화장을 하되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 훌륭한 방법이듯,
문장의 수사법도 진실의 바탕을 가리거나 해치지 않아야 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또렷하게 부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수사법의 3대 원리
문장의 수사법에는 기본 원리가 있다.
강조의 원리, 비유의 원리, 변화의 원리이다.

(1) 강조의 원리
작가의 나타내고자 하는 사상이나 감정 중에서
어느 부분을 더욱 또렷하게 전달하며 강한 인상을 주려고 할 때 사용한다.

(2) 비유의 원리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어떤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임으로서 명확한 인상을 주려고 할 때 사용한다.
가령, '날 좀 보소' 라는 평범한 말을 '동지섣달 꽃본 듯이
날 좀 보소'라는 비유법으로 더욱 선명하게 전달한다.
미인을 '장미처럼 아름다운 미인'이라 표현한다.

(3) 변화의 원리
문장의 단조로움이나 지루함에 변화를 보려고 할 때 사용한다.
사람들은 변화를 추구한다.
수사법(修辭法범; rhetoric)이란 원래 웅변의 기술을 뜻하던 라틴어에서 나온 말인데,
이제는 작문상의 기법을 의미한다.
수사란 문장을 미적이고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 사용하는 비유, 수식 등의 방법을 뜻하며,
수사법은 그 방법으로부터 확립된 기교의 형식을 의미한다.
문장의 기술, 문체, 비유법 등 여러 가지 뜻으로 대용되는 수사법의 역사는
인간의 문자 발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지만,
서양에서는 그리스에서 민주 정치의 한 방편으로서 중시하던
웅변술의 훈련을 위해서 수사법이 발달되었다.

동양에서는 중국을 비롯해 우리 나라에서도 주로 시작법(詩作法)의 기교로 발달하였다.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이란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 설득을 위한 모든 수단을 고찰하는 기능'이라고
정의한 이래 시대에 따라 수사에 대한 개념이 변천해 왔다.
초기에는 미적 효과를 중시하던 개념에서 시작하여 차츰 정확하고 효과적인 표현과
전달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도서관 (지식 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 * 묘사 * 기교 - 창작여록  (0) 2010.04.02
-수필에 있어서의 詩的 表現-   (0) 2010.04.02
<수필 창작 강의자료>  (0) 2010.04.02
수필 작법  (0) 2010.04.02
수필쓰기의 자세  (0)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