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향기

젊어도 보았네 늙어도 보았네

엄마라는 나무에 자식이라는 꽃을 피워 그 향기가..."

도서관 (지식 충전... 140

연속듣기 음악파일 쉽게 만드는 방법

연속듣기 음악파일 쉽게 만드는 방법 마음에 드는 음악 여러곡을 하나의 음악파일로 만들어 들을 수 있는 제일 쉬운 방법을 입니다. 연속듣기로 만들으시려면 음악파일을 만들어 주셔야 하는데,, 아래 순서대로 해보세요. 참고로, 벅스 음악소스같은 그런 음악 파일은 안된답니다. http://daumbgm.nefficient.co.kr/mgbdamu/A0903723/A090372390026401.wma 연속듣기만들 소스입니다, 꼭,음악파일 첫부분이 http://~ 이렇게나 mms://~ 이런식 이어야만 됨니다.{주의사항} wma, asf 끝부분은 어떤 것에도 상관이 없지만 asx 이렇게 끝나는 파일은 사용하지 말아 주세요.. asx 이렇게 끝나는 파일은 이미 다른분들이 만들어서 올린 음악이랍니다, 그럼 이제 음악 ..

음악 소스 만들기

?▶size=2>음악태그 쉽게 이해하기 ?음악 태그는 아래와 같습니다 ?<embed src= 음악 주소> embed 는 음악을 삽입하라 라는 명령어 이지요src 는 그 경로를 말하고요 여기에 몇가지가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첫번째, 음악을 자동으로 들을 것인가 수동으로 들을 것인가 a. 자동으로 들을려면.... autostart=true b. 수동으로 들을려면.... autostart=false ?두번째, 노래바를 감출 것인가 노출 시킬 것인가a. 감출 경우..........hidden=true b. 노출 시킬 경우.....width=100 height=20 (노래바의 크기임) ?세번째, 한번만 들을 것인가, 날 새도록 들을 것인가 a. 제한적으로 들을 때......loop=듣고 싶은 수b. 날 새도록 ..

설명문의 구성법

설명문의 구성법 기본글 구성법 : 구성법은 글전체나 글일부에 적용가능, 또한 여러 구성법을 중복하여 적용가능. 기본글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내용을 조리있게 정리한 글로서 자체로 완성된 글임. 꼭 서론-본론-결론 형식으로 전환할 필요는 없음. 구성법 설명 구성 예 비고 1. 일반적 서술 구성 전체 요약(대상, 요점)을 보이고 하나씩 설명, 미괄식은 예외 열거식 대상-설명, 범주-나열 포괄식 요점-뒷받침, 설명-요점(미괄식) 2. 관습적 사고도구를 이용한 구성 관습적 도구를 이용해서 내용을 용이하게 전개 반응촉진 문제-해결, 비판-주장, 질문-대답 분석요약 비교, 원인-결과, 전체-부분, 추론 3. 독자 편의나 반응을 고려한 구성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배열 준비시킨 후 설명 쉬운 것 - 어려운 것 중요도..

詩人들이 말하는 좋은 詩 는

詩人들이 말하는 좋은 詩 는 1.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가 말하는 좋은 시 에즈라 파운드는 시의 요소를 ‘센스, 사운드, 이미지, 톤’ 네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센스(sense)’는 지적인 감각, 상투적인 감각이 아닌 참신한 감각을 말한다. 독자들의 이해력이 요청되는 까닭에 더러는 난해하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다. 둘째 ‘사운드(sound)’는 음악성을 말한다. 시의 표현 재료는 언어인데, 음악성을 띤 언어라야 시어가 된다. 언어의 음악성, 곧 운율은 독자에게 예술적인 흥분과 쾌감을 주는데 외형률보다는 미묘한 내재율에 현대시의 묘미가 있다. 셋째 ‘이미지(image)’는 심상 또는 영상, 형상 등으로, 시를 읽어 가는 동안 우리의 마음속에 그려지는 그림을 말한다. 대체로 비유로써 형성되..

쉽고 깊은 글쓰기: 주제선정과 요점찾기

쉽고 깊은 글쓰기: 주제선정과 요점찾기 글쓰기 교재에서 보면 글을 쓰는 전형적인 과정은 이렇다. 주제선정--자료수집--구상--개요작성--집필--퇴고의 순서다. 주제선정은 넓고 막연한 주제(가주제)에서 시작해서 점차 구체적으로 한정된 주제(진주제)를 선정한다고 되어있다. 그런 후에, 자료수집--구상 과정을 거쳐 쓸거리들을 만들어내고 주제문을 작성한다. 주제 문은 주제에 대한 중심 생각을 나타낸 문장, 즉 핵심내용 문장으로서 글의 요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보자면 주제선정을 하고 자료수집을 한 후에 요점찾기를 하는 걸로 되 어있는데, 여기엔 약간 문제가 있다. 글을 쓸 적에는 우선 ‘무엇에 대해서 쓸까(글의 대상)’와 ‘무엇을 쓸까(글의 요점)’를 생각해야 하는데, 어쩌면 초보자들은 주제선정 시에는..